컴퓨터 이야기/컴퓨터 상식

💡컴퓨터 상식 ⑬ 저장장치 성능 테스트와 속도 비교 방법

CJMART 2025. 4. 15. 01:32
728x90
반응형

💡 왜 저장장치 속도가 중요한가요?

컴퓨터를 사용할 때 체감되는 ‘속도’의 대부분은 저장장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 부팅 시간, 파일 복사 속도, 프로그램 실행 속도는 모두 저장장치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 특히 SSD는 종류(SATA, NVMe, PCIe 세대)에 따라 속도가 최대 10배 이상 차이 나기도 하며, 전체적인 컴퓨터 사용 경험을 바꿔놓습니다.
똑같은 CPU와 RAM을 써도 저장장치만 바꿨을 뿐인데 '새 컴퓨터'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 저장장치 성능 테스트의 주요 지표

항목 설명

순차 읽기/쓰기 대용량 파일(예: 영화, 게임 설치 파일)을 연속적으로 읽고 쓸 때의 속도. SATA SSD는 약 500MB/s, NVMe는 3000MB/s 이상도 가능.
랜덤 읽기/쓰기 (4K) 작고 다양한 파일(예: 윈도우 부팅, 앱 실행 등)을 무작위로 처리하는 성능. 실제 체감 속도에 가장 밀접한 항목.
IOPS (Input/Output per Second) 초당 입출력 처리 횟수. 수만 단위의 IOPS는 다중 작업이나 서버 환경에서 매우 중요.
지연 시간 (Latency) 요청 후 응답까지 걸리는 시간. 낮을수록 좋으며, SSD는 HDD보다 수십 배 빠름.

 

🔧 대표 성능 테스트 도구 (모두 무료)

도구명 특징 및 활용법

CrystalDiskMark 가장 직관적이고 널리 사용됨. 순차/랜덤 성능 모두 측정 가능. 초보자에게 추천.
AS SSD Benchmark SSD에 특화된 벤치마크. 지연 시간, 점수, 그래프 제공.
ATTO Disk Benchmark 다양한 블록 크기로 테스트 가능. 고급 사용자가 선호.
HD Tune 속도 테스트 외에도 상태 확인(S.M.A.R.T), 배드 섹터 검사 기능 탑재.

CrystalDiskMark는 설치 후 실행 → “All” 버튼 클릭 → 1~2분 안에 측정 결과 확인 가능!


⚙️ 저장장치별 속도 비교 예시 (실제 수치 기반)

저장장치 유형 순차 읽기 속도 랜덤 4K IOPS 주요 특징

HDD 80~150 MB/s 100~300 느림, 소음 발생, 저렴함, 백업용 적합
SATA SSD 400~550 MB/s 5,000~10,000 빠름, 조용함, 대부분 사용자에게 충분
NVMe SSD (Gen3) 2,000~3,500 MB/s 200,000 이상 고속, 고성능 시스템에 적합
NVMe SSD (Gen4) 5,000~7,000 MB/s 400,000 이상 최고 속도, 발열 주의 필요

 

🧠 초보자를 위한 실전 팁

  • SSD로 바꾸기만 해도 체감 성능 3배 이상 상승
  • 4K 랜덤 성능이 실사용 속도와 가장 관련 있음
  • NVMe SSD는 속도가 빠르지만, 열이 많아지면 자동으로 속도를 낮추는 ‘쓰로틀링’ 발생
  • CrystalDiskMark 결과는 2~3회 측정 후 평균으로 보는 것이 좋음
  • 정기적인 성능 점검은 SSD 수명 관리에도 효과적

📌 정리하며

  • 저장장치는 단순한 데이터 보관 장소가 아니라 컴퓨터 성능과 사용자 경험의 핵심 요소입니다.
  • 숫자 스펙보다 실제 속도를 직접 벤치마크로 확인하고 비교해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초보자도 CrystalDiskMark와 같은 무료 도구 하나면 내 컴퓨터 저장장치의 상태와 등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추천 태그:

#SSD속도측정 #CrystalDiskMark #SSD벤치마크 #저장장치성능 #컴퓨터속도향상 #HDDvsSSD #NVMe비교 #디스크성능비교 #컴퓨터초보 #디스크속도측정
728x90
반응형